처음 서비스를 기획할 때는 주로 국내 사용자만을 상정합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글로벌로 나아가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막히는 것이 바로 결제 시스템입니다.
‘결제’는 단순히 돈을 주고받는 행위 이상으로, 사용자 신뢰, 환율 이슈, 정산 구조, 로컬 법규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들이 얽혀 있기 때문이죠.
특히 해외결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곧 외화 수취 및 정산, 다국적 카드사 연동, 글로벌 보안 기준 준수 등의 복잡한 단계를 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PG(Payment Gateway)를 하나 붙이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모델에 맞는 결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결제는 흔히 다음 세 가지 경로 중 하나로 처리됩니다
방식 | 설명 | 대표 서비스 |
---|---|---|
국내 PG를 통한 외화 결제 | KG이니시스, 나이스페이 등 국내 PG가 해외카드를 받는 기능을 제공 | KG이니시스 글로벌 모듈 |
글로벌 PG 직접 연동 | Stripe, PayPal, Adyen 등의 글로벌 PG를 직접 연동 | Stripe, Braintree, Checkout.com |
마켓 플랫폼 위임 | App Store, Google Play, Shopify 등 자체 결제시스템이 있는 플랫폼 사용 | App Store 결제 인앱결제 |
기획자는 다음 기준에 따라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타겟 시장이 어디인가? (미국/유럽/동남아/중동 등)
- 결제가 일회성인가 정기결제(구독형)인가?
- 신뢰도, 환불 처리, 차지백(결제 취소 요구) 등에 대응할 수 있는가?
예) SaaS B2B 서비스라면 Stripe + Apple Pay 연동이 기본적이고, 콘텐츠 구독 서비스라면 인앱결제를 병행해야 합니다.
1. 정산 계좌는 어디로?
외화 수취 계좌를 어디로 둘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한국 내 외화 계좌로도 일부 PG는 정산이 가능하지만, Stripe 등은 해외 법인 및 현지 은행 계좌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수수료를 최소화하려면 Wise, Payoneer, Revolut Business 계좌 활용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통화 설정
사용자가 USD, EUR, INR, KRW 등 어느 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환율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가격이 바뀌게 할지, 고정된 가격으로 운영할지도 전략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3. 세금 처리 및 영수증 발행
VAT, GST, 부가세 등 국가별 세금 처리 방식이 다르므로 현지 법인 설립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Stripe Tax, Paddle 같은 세금 자동 처리 시스템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기획자는 결제 이후 고객에게 어떤 형태의 영수증 혹은 인보이스가 제공될지에 대한 화면 흐름도 준비해야 합니다.
4. 결제 실패 시 UX 시나리오
해외 카드의 경우 승인 실패율이 높기 때문에, 실패 메시지를 정확히 제공하고 다른 수단(다른 카드, PayPal 등)으로 유도하는 UX가 필수입니다.
항목 | Stripe | PayPal | Adyen | Paddle |
---|---|---|---|---|
API 사용성 | 매우 우수 | 중간 | 좋음 | 중간 |
지원 통화 | 135개 이상 | 25개+ | 150개 이상 | 20여개 |
수수료 | 2.9%~ + $0.3 | 4.4%~ | 2.9%~ | 5%+ |
정기결제 | 가능 | 가능 | 가능 | 가능 |
국내 지원 | 법인 필요 | 개인도 가능 | 법인 필요 | 법인 가능 |
특징 | 스타트업에 인기, 확장성 우수 | 인지도가 높고 신뢰도 높음 | 대기업 지향 | SaaS에 최적화 (세금대행 포함) |
기획자 포인트: Stripe은 거의 모든 서비스에 적합하지만, PayPal은 신뢰도가 높은 대신 UX가 불편합니다.
Paddle은 세금과 구독 관리까지 대신해주기 때문에 B2C SaaS에 적합합니다.
1. 다국어 + 다통화 가격 노출
서비스 UI에서 언어뿐 아니라 통화 단위가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설계해야 함
예: 미국 유저에게는 “$9.99 USD”로, 유럽 유저에게는 “€9.99 EUR”로 노출
2. 결제 수단별 로고 노출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 외에 각국 로컬 결제 수단 (e.g. 일본의 Konbini, 브라질의 Boleto 등)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면 신뢰도 상승
3. 구독 관리 페이지
사용자 스스로 구독 상태를 확인하고 해지할 수 있어야 리스크 최소화 (강제 차지백 방지)
Stripe Billing 포털 또는 자체 구현
4. 환불 및 정책 안내
글로벌 유저는 불만시 바로 카드사에 클레임을 걸 수 있으므로, 환불 조건, 정책은 매우 명확하게 작성해야 함
Q. Stripe는 한국에서도 개인이 쓸 수 있나요?
A. 2024년 기준, 한국 법인은 지원하지만 개인 사업자는 불가입니다. PayPal은 개인도 가능.
Q. 인앱 결제는 무조건 App Store 써야 하나요?
A. 디지털 콘텐츠(영상, 음원, 텍스트)는 인앱 결제 강제입니다. 단, B2B 혹은 물리 상품은 웹결제가 허용됩니다.
Q. 환불 요청이 많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죠?
A. Stripe Radar 같은 자동 사기 탐지 기능 사용 + 결제 UX 개선이 중요. 고의 환불러를 막기 위해선 정기결제 안내 투명성도 관건.
해외결제를 붙이는 작업은 단순히 기술 연동에 그치지 않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설계, 사용자 신뢰도 확보, 현지 정책 대응, 디자인 기획까지 모두 아우르는 ‘서비스 기획자의 총합 역량’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기획자는 결제 흐름의 가장 앞단과 뒷단, 두 영역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간편함과 투명함을 동시에 갖춘 UX를 설계해야 합니다.
해외 시장에 진입하는 첫 단추이자, 브랜드 신뢰의 출발점이 바로 결제 경험이기 때문입니다.
Global payments note by bunzee.ai